1)병원에 방문했을 때 담당의사분께서는 굽힘과 폄이 잘 나타나나 확인해보고 저보고도 움직여보라한 뒤 상처가 깊지 않다고 간단한 봉합만 하면 될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X-ray나 MRI, 초음파 검사를 하지 않고 바로 보통 상처부위를 열어보나 이 부분도 의구심이 생겼습니다.
> 그건 의사의 판단에 따라 검사를 할지 말지 결정하는 것이죠. 오히려 너무 쓸데 없는 검사를 하는게 더 문제인 것이죠.
> 그런 검사를 하지 않았다고 해서 의사가 잘못한 게 아닙니다. 오히려 양심적인 의사일수도 있는 것이죠.
2) 수술실이 아닌 처치실에서 손가락 마취 후 절개 한 뒤 상태를 보시더니 깊게 베인 것 같다고 인대가 0.5cm 베였다하여 봉합한다고 하였습니다.
이 부분도 예손병원 글을 읽으며 개방성 건성 망치 수지란 것을 알았고 인대가 아닌 신전건 손상이란 것도 여기서 알았습니다. 날카로운 것에 베인 상처는 수술적치료를 하나, 대게 비수술적 치료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또한 완전한 끊어짐이 아니라 더더욱 부목치료를 했어도 될 것 같다는 개인적인 견해가 생겼고 왜 담당의사분은 바로 봉합을 했는지 비수술적 치료가 있다 이런 식으로의 별도의 안내가 없었는지 의문이 지금에야 들었습니다....
>
> 이전에 답변드린 대로 상처가 있는 개방성 망치 수지는 당연히 수술을 해야되는 것이므로 환자분이 상처가 있으므로 당연히 수술을 하셨어야 됩니다.
힘줄이 얼마나 끊어졌는지는 초음파, MRI로도 어느 정도 알수 있지만 워냑 얇고 가는 힘줄이라서 가장 정확한 것은 상처를 열어서 확인한 것입니다. 이런 검사들은 매우 비싼 검사이므로 앞서 말씀드린 대로 꼭 찍어야 되는 지는 의사가 판단할 문제인 것이죠.
힘줄이 완전히 끊어졌다면 당연히 다치자 마자 바로 끝마디가 펴지지 않았을 것인데 환자분은 손가락어 어느 정도 펴졌다고 하니 완전히 끊어진게 아닐 거라고 생각하고 수술을 진행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완전히 끊어진 경우는 국소마취로 수술이 불가능합니다. 손가락 펴는 힘줄이 지속적으로 몸통쪽으로 당겨지므로 봉합과정에서 이 힘을 이겨내기 힘들기때문이죠.
> 따라서 그쪽 병원에 수술한 것은 적절한 조치입니다.
> 제가 인터넷 답변을 달변서 늘 걱정하는 것이 환자들이 제가 적은 답변을 잘못 해석하는 것이고 그 때문에 수술한 의사와 환자간의 신뢰관계( 랏뽀)를 훼손시켜서 치료를 더 힘들게 하는 것입니다.
3) 수술을 마치고 반깁스를 약 한 달 착용하면 된다고 겉의 실밥은 2주 뒤 제거한다고 처방 받았습니다.
> 반깁스도 보통 정형외과를 다녔을 때 의사선생님들이 해주시는데 이곳은 간호사분들이 하셔서 이해가 안 갔습니다(간호사의 역량을 비하하는 것이 아니라 수술을 진행한 담당의선생님이 상태를 더 잘 알텐데 그에 맞는 반깁스 고정을 해야하는 것 아닌가의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망치수지의 경우 손가락부목만 한다는 일반적인 사실도 알게 되었는데 담당의선생님께서는 손등까지 이어져있으니 움직임을 제한해야한다고 반깁스를 말하셨습니다.
>
> 원칙적으로는 손가락 끝마디만 고정하는 것이 교과서적 치료입니다만 수술후 어떻게 치료할지도 수술소견에 따라 담당의사가 결정하는 것이고 최종 결과에 대해서도 담당의사가 책임지는 것이죠.
> 이 부분을 그쪽 의사가 잘못했다고 제가 답변드리는 것은 불가능하며 책임도 질수 없습니다.
> 반깁스는 의사가 하는게 원칙이기는 하나 의사의 지시와 감독하에 간호사가 할 수도 있습니다.
4) 몇몇의 글에서 수술과 재활을 각기 다른 병원에서 할 수 없다, 수술 후 병원을 옮길 수 없다는 내용의 글도 숙지했습니다. 다 이해했습니다. 만약 추후 문제가 생겨 제가 책임을 물을 수도 있고 혹은 책임을 물을 곳이 모호하거나 없어진다는 사실도 인지했습니다.
너무 불안합니다. 손을 많이 사용해야하는 직업인데 아직 분명히 문제가 없는 것은 맞으나 수부전문 병원에 갔더라면 더 좋은 예후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현재 치료는 잘 돼가는 것인가, 12월 중순부터 수술한 병원 방문이 한동안 어려워지는데(3개월간 거취를 잠시 옮겨야합니다. 예손병원과 매우 가까워 집니다[부산에서 인천으로]) 미리 병원을 옮겨야하나 생각이 많습니다.
> 적어주신 대로 타병원에서 수술한 상황에서 저희 병원 뿐 아니라 어느 병원에서도 환자분을 진료해주지는 않을 것입니다.
> 원래 망치 수지 손상 자체가 매우 어려운 치료이고 결과도 장담할 수 없는 손상인데 어느 의사가 자기가 수술하지 않은 상황에 대해 책임지려고 할까요?
가끔 환자분들이 어떤 책임도 묻지 않을 테니까 진료해달라고 오시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과연 변호사나 판사도 그렇게 생각할까요? 아무 잘못도 없는데도 형사고발당해서 경찰서에 불려가서 지장 찍고 몇시간씩 조사 받으며, 판사가 설명의무위반이니 뭐니 하면서 물어주라고 하는게 현재 의료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저도 12시간 반에 걸쳐서 완전히 짤린 손가락 네개를 다 붙여서 살려줬는데도 소송당해서 재판까지 간게 지금 현실이구요.
> 따라서 저희 병원에 오신다고해도 저희가 진료를 해준다고 약속드릴 수도 없고 책임도 질 수 없습니다.
> 최초 병원 선택과 수술 진행에 동의한 환자분이 감수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나는 아무것도 모르고 수술했다고 하시는 분도 있는데 다른 수술들은 그렇게 병원을 검색을 열심히 해서 선택하면서 왜 손가락은 그렇게 안하는지 저로서는 이해가 안갑니다.
이미 엎지러진 물은 어떤 뛰어난 의사도 다시 담기는 어렵습니다. 처음도 어려운데 이미 잘못된 상태라면 더더욱 어려운 것은 당연한 것이구요.
5) 별개의 질문으로 애초에 완전 파열이 아니면 망치수지라고 하지 않는다, 치료 전 굽혀진 각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진다는 말도 보았는데 전 완전파열도 아니고 굽혀진 각도도 미비했는데 이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지 궁금하기도합니다......
> 끝마디는 안펴지는 것도 문제지만 안구부러지는 것도 문제입니다. 개방성 건성 망치는 완전히 끊어지지 않더라도 비개방성 망치 수지보다는 예후가 좋지 않은 편입니다.
> 물론 완전히 끊어진 것보다는 완전히 끊어지지 않는 것이 더 좋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