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대퇴골 골두의 혈액 순환에 장애가 발생하여 연골주위 골의
괴사 및 함몰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사타구니 부위의 통증과 보행시 다리를 절게되어
고관절 연골 손상 및 골관절염으로 진행하는 질환입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고관절 질환 가운데 가장 흔한 질환이며 특히 주로 발생하는 연령은
30~50 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 발생하여 조기에 관절 파괴를 유도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크게 나누어 외상성과 비외상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외상성은 대퇴골 경부 골절, 고관절 탈구 등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경우이고,
비외상성은 그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특발성을 비롯하여 지나친 음주, 부신피질호르몬(스테로이드)
과다복용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타 잠수병, 혈색소질환, 내분비질환, 악성종양,
만성간질환등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증상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흔하지만 질병이 진행하면서 사타구니(서혜부)의 동통을
호소하게 되고 보행 등의 활동에 의해 악화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슬관절이나 허리 등의 인접 관절에 동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특히 대퇴골두의 함몰이
발생하는 경우 격심한 동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병이 진행함에 따라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 다리 길이 차이 등이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관절염 변화가 초래됩니다.
검사
단순방사선(x-ray)와 병변부위의 크기 및 정확한 진단을 위해
자기공명영상(MRI)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치료 방법
질병의 진행단계에 의해 결정됩니다.
크게 나누면 약물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할 수 있고 수술적 치료는 다시 자기 관절을
유지하는 수술과 인공관절치환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고 함몰이나 관절염의 소견이 없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관찰과 필요 시
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골두의 함몰이 심하지 않고 관절염의 증거가 미미한 경우에는 관절을 유지하는 구제술을 시행하는데
이에는 다발성 천공술, 핵심감압술, 생비골이식술 등이 있습니다.
골두의 함몰이 심하거나 이미 퇴행성 변화가 진행된 경우에는
인공관절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을 시행하게 됩니다.
인공관절치환술 시행 후에는 동통이 해소되고 바로 조기 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인공관절은 과거 금속과 플라스틱을 이용하였는데 플라스틱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들이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주위 골조직을 용해시키고 또 그 자체가 마모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수명이 길지 않은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세라믹을 이용한 인공관절이 개발되면서 관절의 수명이 20-30년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